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2

Junit - Assert 메소드 단정 메소드 (assert method) 메소드 설명 assertEquals(x,y) 객체와 x와 y가 일치함을 확인한다. x(예상 값)와 y(실제 값)가 같으면 테스트 통과 assertArrayEquals(a,b) 배열 A와 B가 일치함을 확인합니다. assertFalse(x) x가 false인지 확인 assertTrue(x) x가 true인지 확인 assertTrue(message, condition) condition이 true이면 message 표시 assertNull(x) 객체 x가 null인지 확인합니다 assertNotNull(x) 객체 x가 null이 아닌지 확인합니다. assertSame(x, y) 객체 x와y가 같은 객체임을 확인한다, x, y가 같은 객체를 참조하고 있으면 통과 ass.. 2022. 6. 2.
[JUNIT] 테스트 코드 연습[1] TestCode와 친해지고 싶어서 작성하는 게시물 시리즈입니다. 조언, 멘트 언제나 감사합니다 1. 요구사항 package clsString; import lombok.extern.java.Log; @Log public class ClsString { /** * 요구사항 1 1 - "1,2"을 ,로 split 했을 때 1과 2로 잘 분리되는지 확인하는 학습 테스트를 구현한다. 2 - "1"을 ,로 split 했을 때 1만을 포함하는 배열이 반환되는지에 대한 학습 테스트를 구현한다. * */ public static String[] requiredSplit(String input){ String[] output = input.split(","); return output; } public static St.. 2022. 6. 2.
[JAVA] StringTokenizer StringTokenizer 문자열을 우리가 원하는 구분자로 분해해주는 클래스 나눠진 문자열을 토큰(token)이라고 부른다. StringTokenizer(String str) : 문자열 str을 기본 delimiter로 분리한다. 기본적으로 "\t \n \r "이다. StringTokenizer(String str, String delim) : 특정 단어 delim으로 str을 분리한다. StringTokenizer(String str, String delim, boolean returnDelims) : str을 특정 delim으로 분리하면서 delim을 token으로 포함할지 결정, true일시 포함 false일시 미포함 int countTokens() : 남아 있는 token의 개수를 반환 bool.. 2022. 5. 23.
[JAVA]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 버퍼를 이용해서 읽고 쓰는 함수 보통 우리는 키보드의 입력 즉시 바로 전달 되는 상황을 보게 된다. 바로바로 입력 받는 행위가 더 빠를것 같지만 실제로는 메모리 버퍼에 두고 한번에 들고 오는 상황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버퍼(buffer) - 데이터를 한곳에서 다른곳으로 전송할 때 임시로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메모리 영역 - 속도를 위해 사용 버퍼 플래시(buffer flush) - flush 생각하면 됨 BufferedReader Scanner와 다른 점 엔터만 경계로 인식, String으로 들고오기 때문에 가공이 필요하다, 예외 처리 또한 필수다. //콘솔 입력 받기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Reader(Sys.. 2022. 5. 23.
[AWS] 서버 만들어보기 1. 로그인 후 2. 인스턴스 선택 상단의 인스턴스 시작을 선택해준다. 3. 이름, 사용 할 앱, 인스턴스 유형, 네트워크 설정(SSH, HTTP), 스토리지 구성을 선택해준다. 4.마지막으로 pem 키를 생성해준다. 5. 서버 인스턴스가 생선 된다. ( 현재 종료한 상태) 2022. 5. 21.
[SQL] select 절 안에서 select 프로젝트 진행 중 # Table tb_a, tb_b inner join a.sno = b.sno # a에는 없는 b.level을 검색해서 들고 오고 싶었음 본래 맡고 있던 프로젝트 해결하고 온 사이에 쿼리가 수정 되어있었다..!! 수정의 요인은 >>성능 저하 2022.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