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DB

[Postges] Spring Boot + Postgres 설정하기

by 설이주인 2022. 11. 15.

이 작업은 Spring Boot[Gradle] + Postgres + JPA를 기반으로 작업한 게시글입니다.

 

Postgres 설치는 아래 링크로

https://postgresapp.com/

 

Postgres.app – the easiest way to get started with PostgreSQL on the Mac

Postgres.app is a full featured PostgreSQL installation packaged as a standard Mac app.

postgresapp.com

 

설치후 실행해주면

 

위와 같은 코끼리가 우리를 반겨준다.

사용할 디비로 이동하면 터미널창이 나오는데 해당 터미널 창에서 사용자 추가와 사용할 데이터 베이스 생성을 진행해주자.

 

\du 명려어를 통해서 현재 존재하는 사용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으로 사용할 사용자를 추가해주자

CREATE ROLE [username] WITH LOGIN PASSWORD [password];

 

사용자 생성 완료

생성한 사용자에게 CREATEDB, SUPERUSER 권한을 주고 변경 사항까지 확인하자

ALTER ROLE USER [username] WITH [privilage];

 

앞으로 사용할 디비를 생성해줄 차례이다.

해당 디비에 관한 권한들을 우리가 앞에 생성한 사용자 admin_kje에게 부여하자

 

\l 명령어로 현재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 목록을 확인하자

 

기쁘게 프로젝트와 연결을 진행하자.

 

준비할 부분은 gradle의 dependency 추가와 yml 설정이다

 

gralde 부분에 postgresql, jpa 를 추가해주자

yml 설정은 아래와 같다

spring:
  datasource:
    password: 
    url: jdbc:postgresql://localhost:5432/board
    username: admin_kje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dialect: org.hibernate.dialect.PostgreSQLDialect
        format_sql: true
    show-sql: true

 

 

완성이다.

 

이후 ApplicationRun으로 Entity를 통해서 테이블을 생성해주자

 

 

생성된 테이블은 \dt로 확인 가능하다.

 

 


h2, mysql 정도만 사용하다가 이번 기회에 코끼리를 사용해보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언제나 재밌지만 살살 부탁드립니다. 코끼리 선생님